Time and Money

Tuesday, February 08, 2011

2010년 12월 6일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식차이

11월 중순에 실시된 소비자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치가 노동부의 공식 인플레이션 수치인 1.2%보다 훨씬 높은 3%대로 나타나 인플레이션에 기준한 정부의 정책이 오류를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현재 인플레이션과 가장 깊은 관계를 갖고 있는 정책은 연준의 금융정책인데 최근 연준이 제2차 양적완화를 통해 경기를 부양하겠다고 결정한 배경에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비공식 목표치보다 낮은 점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즉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별로 높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돈을 더 풀어도 부작용이 없을 것이라는 논리인데 이번에 조사된 것처럼 소비자들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식이 실제로 더 높다고 하면 양적완화정책은 겉잡지 못하는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위험을 안게됩니다.

이렇게 공식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들의 체감 인플레이션이 다른 것은 노동부의 인플레이션 측정방식으로 인한 당연한 현상입니다. 노동부는 매달 8만가지 항목을 가지고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데 이 항목이 각각의 소비자의 소비형태에 따라 그 체감도가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8만개 항목 중에는 가격이 오르는 항목도 있고 내리거나 같은 항목이 있는데 이들 중 특히 오르는 항목에 소비가 집중된 소비자 입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졌다고 느낄 것이고 가격이 오르지 않거나 내린 항목에 소비가 집중된 소비자에게는 인플레이션이 없다고 느낄 것입니다.

실제로 여러 연구결과를 보면 주로 빈곤층과 노년층 그리고 저학력자일수록 인플레이션이 높다고 느낀다고 조사되기도 하고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다고 느낀다는 조사도 나오고 있어 개인별 편차는 어쩔 수 없다고 하겠습니다.

어쨌든 공식지표와 실제 체감지표가 차이가 나듯 연준 내에서도 양적완화를 해도 될만큼 인플레이션이 낮다는 의견과 자칫 문제를 심각하게할 것이라는 의견으로 나뉘고 있어 지난 달 연준의 제2차 양적완화정책 발표 이후 연준은 인플레이션 걱정은 지나친 것이고 경기부양을 위해 돈을 푸는 것은 당연하다는 주장을 펴야하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시중의 소비자가 느끼는 기대 인플레이션이 공식인플레이션보다 높게 측정되고 있어 연준의 양적완화정책 자체가 많은 부담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특히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는 정책은 그 효과가 거의 1년에서 1년 반 이후에 나타나는 점을 고려한다면 자칫 이번 양적완화가 경기부양 전에 인플레이션 악화를 가져올 가능성도 높다고 하겠습니다.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