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and Money

Friday, March 05, 2010

2010년 3월 1일

연준의 재할인율 인상

은행이 연준에서 돈을 빌릴 때 지급하는 이자율인 재할인율이 인상되면서 금융시장을 잠시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그러나 이번 혼란은 그 내용보다는 발표 방법의 의외성 때문이었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은행은 매일 자금 수급상황을 보면서 자금이 부족한 은행들은 자금이 남는 은행들로 부터 은행간 대출형태로 돈을 빌려 씁니다. 이 때 지급하는 이자율은 흔히 은행간 기준금리라고 불리는 Fed Fund rate입니다.

이에 반해 은행들이 다른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지 못하면 마지막 수단으로 가는 곳이 연방은행이고 연방은행은 재할인율 즉 discount rate을 받고 자금을 빌려줍니다. 이런 점에서 연방은행을 마지막 자금원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이번에 올린 재할인율은 바로 은행이 연방은행에서 최후의 수단으로 돈을 빌릴 때 사용하는 이자율이기 때문에 평상시 금융권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이자율입니다. 따라서 재할인율의 인상은 실제 경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징적 금리일 뿐이어서 이번 인상결정은 그렇게 의미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재할인율 인상은 오히려 금융계에서 보면 상당히 긍정적인 소식입니다. 재할인율을 평소 금리에서 올렸다고 하기 보다는 정상 상태로의 회복인 성격이 강해서 금융권 정상화를 나타내는 연준의 자신감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금융위기 때 정상적 은행간 자금 수급이 되지 않자 많은 은행들이 연방은행에서 자금공급을 받았고 이 자금공급의 이자율이 일반 은행간 기준금리보다 훨씬 높은 점이 은행권을 압박한다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인위적으로 재할인율을 낮춰주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금융시장이 안정이 되자 다시 은행간 자금수급이 정상화 되었고 따라서 은행들이 연방은행에서 자금을 빌려쓰는 경우가 거의 없어졌기 때문에 다시 재할인율을 원상태로 회복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렇게 시중에 영향이 별로 없고 오히려 은행간 자금수급이 안정화된 신호로 해석할 수 있는 재할인율의 인상이어서 큰 반응이 없어야될 내용이었는데도 잠시나마 금융계가 긴장을 한 이유는 그 발표가 깜짝성을 띠고 있어서라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당국의 발표 한마디에 신경이 곤두서는 시점에 연준의 발표 방법과 시기 선택이 자칫 시장을 불안하게 할 수 있다는 사례라고 하겠습니다.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