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and Money

Thursday, September 27, 2007

경기침체의 위협

계속 이어지는 주택시장의 침체와 이에 따른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연결된 신용경색 그리고 최근에 다시 급격히 상승하는 원유가의 압력 때문에 미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는 실업율 증가와 기업이익의 감소를 동반한 최소 연속적으로 두 분기동안 경제전체의 생산이 감소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공식적인 국가경제조사청의 개념에서는 경기침체는 몇달 이상에 걸쳐 경제전반에 퍼진 현저한 경제활동의 저하현상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에 의하면 현재 미경제에서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것은 앞으로 멀지않은 시기에 미 경제활동이 현저히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미 경제활동이 심각하게 둔화될 요인으로 주택경기의 침체와 신용경색 그리고 높은 원유가가 거론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모두가 개인 소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미 경제는 약 3분의 2가 소비로 구성돼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분야가 미 경제의 성장을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요한데 지난 2002년 부터의 호황기에는 주택가격의 상승과 초저금리에 따른 대출의 증가가 개인 소비자들의 소비능력을 키워왔기 때문에 이제 그 소비력의 원동력이었던 주택가격상승과 풍부한 대출이 거의 막힌 상황에서 소비가 줄 것은 당연하다는 논리입니다.

원유가 역시 소비에 많은 제한을 가져오게 되는데 그 이유는 원유가가 올라 개인 소비자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솔린 가격이 올라가면 개솔린에 대한 지출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그 만큼 다른 소비가 줄게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는 비록 주택경기가 나빠지고 신용경색으로 대출원이 많이 줄었다고는 하나 고용이 건재해 소득이 올라가는 한 소비를 유지할 수 있으리라고 보는 개인소득 의존론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 최근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로 야기된 신용경색이나 주택경기의 하락도 이미 시장에 충분히 반영되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추가로 큰 불안을 겪지 않을 것이라는 시장안정론도 경제안정론의 바탕이 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결국 빠른 장래에 경기침체가 오느냐 하는 의문에 대한 해답은 소비자와 기업이 현재까지의 주택시장과 대출시장의 문제를 얼마나 소화했고 이에 따라 소비와 기업의 투자가 큰 변화없이 유지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고 보입니다. 이에 대해 금융계는 더 부정적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